Logo
품격있는 정치,
    품위있는 정치인과 함께 하는 세상이어야 하는데

정치인

Politician

언론

Media

마당

Bazar

유산

Heritage

지금

Now

category-icon

돈經濟

칼럼 wonderboy

테슬라, 비욘드 미트, 네스트… 기후 유니콘 시대

Views
0
Thumbnail
 
기후기술(climate tech)에 돈이 몰리고 있다. 기후기술은 기후위기에서 시작된 새로운 성장 기회로 통한다. 온실가스 순 배출량 제로를 뜻하는 넷제로(Net-Zero)는 전 세계가 동참하는 거대한 변혁이다. 그리고 이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전례 없는 수준의 혁신이 필요하다.
 
기후기술은 기후 문제에 솔루션을 제시하는 혁신 기술을 의미한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정의에 따르면 온실가스 감축(mitigation)과 기후변화 적응(adaptation)에 기여하는 모든 범위의 기술이다. 국내에서는 크게 클린테크(에너지), 카본테크(탄소 포집 등), 에코테크(자원순환), 푸드테크(농식품), 지오테크(탄소 관측 및 기후 적응) 등 5개 분야로 구분하기도 한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갈수록 심화하면서, ‘기후기술 없이는 넷제로가 불가능’해지고 있다. 유엔 기후변화에 따른 정부 간 협의체(IPCC) 보고서의 핵심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을 산업화 이전 수준인 섭씨 1.5도 이하로 제한하자는 것이지만, 이미 ‘1.5도 마지노선’을 넘어섰다는 보고도 나오고 있다. 1.5도 방어 실패는 기정사실화됐으며, 2도 이하 억제도 도전적인 과제다.
 
기후기술 산업은 전 세계적으로 가파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2032년 예상되는 기후기술 산업 규모는 1480억 달러(약 204조 원)다. 2016년 169억 달러에서 9배가량 높은 수치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2050년까지 평균 1.5도 목표를 달성하려면 총 150조 달러, 연평균 5조 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서는 ‘산업혁명 이후 가장 큰 규모의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글로벌 혁신가들은 발 빠르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재단을 설립하고 펀드를 조성하면서 기후기술을 글로벌 의제로 이끌고 있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이끄는 ‘브레이크 스루 에너지그룹’은 약 150억 달러 규모의 ‘브레이크 스루 에너지 캐털리스트(BEC)’ 펀드를 조성하고 직접 공기 포집(DAC), 그린 수소, 지속 가능한 항공유, 에너지 저장 기술 등 네 가지 중점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또한, 빌 게이츠는 기후기술 투자 전문 벤처캐피털(VC)인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BEV)’를 통해 현재까지 약 23억 달러 규모의 펀드를 조성해 140곳 이상의 기후기술 기업에 투자해 왔다.
 
기후기술 투자를 리딩하는 투자사로는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가 대표적이며, 세계 10위 국부펀드인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도 큰손에 해당한다. 테마섹은 자회사로 탈 탄소화 투자 플랫폼 회사 젠제로를 설립, 36억 달러 규모로 기후기술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또한, 2023년 가장 활발히 활동한 기후기술 투자사 1, 2위로 꼽힌 미국의 클라이밋 캐피털, SOSV도 있다. 시장조사 업체 피치북에 따르면 클라이밋 캐피털은 지난해 총 89건을 투자했다. 이 밖에 미국의 대표적인 임팩트투자사인 컬래버레이티브 펀드는 약 2억 달러 규모로 기후 중점 펀드(SFF·SOS 펀드)를 운용 중이다.
 
기후기술 투자는 전반적으로 VC 업계가 위축된 상황에서도 활기를 띠는 모양새다. 지난해 거시경제 영향으로 기후기술 투자도 타격을 받았으나 전체 시장 대비 그 영향이 덜했다는 평가다. 2022년 상반기까지 기후기술 투자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은 거품 논란으로 이어지기도 했지만, 거품이 걷히고 안정기에 접어들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기후기술 전문 매체 클라이밋 테크 VC(CTVC)는 2023년 상반기 기후 스타트업에 유입된 자금은 전년 대비 40% 줄었지만, 초기 투자인 초기 자금 모금(seed funding) 규모는 오히려 증가했다며 시장이 건전한 재조정을 거쳐 안정을 찾으리라 전망했다. CTVC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기후테크 스타트업 투자 금액은 321억 달러(약 44조 원) 수준으로, 이는 전년 대비 30% 감소한 수치다. 그러나 전반적인 벤처 시장이 39%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투자의 연평균성장률(CAGR)은 23%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의 기후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지정학적 혼란과 인플레이션, 금리 상승, 가치평가 하락 등으로 전반적으로 시장이 쇠퇴했으나 전체 스타트업 투자 대비 기후기술 분야 투자는 증가했다. 전체 투자 대비 기후기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10년간 꾸준한 상승 기조를 유지하며 2023년 3분기 기준 11.4%를 차지한 것으로 보고된다. PwC는 기술 개발에 대한 기대심리, 정부 차원의 대규모 지원 등으로 향후 낙관적인 시장 전망하고 있다.
 
기후기술 분야의 우상향은 기존에 없던 새 시장이 계속 만들어지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기후기술 투자는 과거 2000년도 초반의 ‘클린테크’ 붐을 지나 현재 1.5~2세대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된다. 기후기술 분야가 계속 다변화하면서 최근 몇 년 사이 전통적인 투자 영역에서 벗어나 탄소 회계 분야에서도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0억 달러 이상의 비상장 기업)이 탄생했다.
 
기후 투자가 증가하면서 기후기술 글로벌 유니콘 기업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의 래리 핑크 회장은 “앞으로 탄생할 유니콘 1000개사는 그린 수소, 그린 농업, 그린스틸, 그린 시멘트 등 기후기술 기업일 것이다”라고 발표한 바 있다.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향후 10년은 기후기술 유니콘 기업의 시대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글로벌 데이터 연구 기업 홀론아이큐(Holin IQ)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월 기준 전 세계적으로 80개의 기후기술 유니콘이 있으며, 총 가치는 1800억 달러 이상으로 집계된다. 유니콘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55%)을 차지하는 건 모빌리티·수송 분야다. 식품·농업·토지 이용(17%), 공업 제조업 자원 관리(13%), 에너지 관련(12%), 기타(3%)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모빌리티 분야에 편중된 이유는 전기차라는 상용화된 무대가 있어서다. 모빌리티 편중 구조에서 탄소 감축의 핵심인 에너지 전환을 위한 대대적인 인프라 전환과 새로운 방식의 에너지 솔루션 투자 확대가 과제로 꼽힌다.
 
우리 정부도 지난 3월 19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 방안’을 수립하고, 2030년까지 452조 원의 금융 지원에 나서기로 발표했다. 특히 기후기술 투자 부문에서는 6개 은행(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산은)이 2030년까지 9조 원을 출자해 미래 에너지 펀드를 신규 조성하기로 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할 예정이다. 이와 같은 정책 자금을 마중물 삼아, 기후기술 투자가 출자자(LP)와 VC 중심의 투자를 넘어, 향후 운용사(GP)와 공모 시장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기후기술 유니콘 기업이 탄생하지 않는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신고내용

신고내용을 선택해주세요
회원비난/비하/욕설글 및 댓글도배성 게시물저작권 침해/불법자료 유출허위사실유포개인정보 유출.사생활 침해무단광고/홍보음란물 및 도박 불법 광고물범죄행위 관련 글불법행위 관련 소개물품 판매 및 사기글악성코드 및 스파이웨어 유포기타 사유 및 운영진 판단
ID
Password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회원이 아니신가요?
Sign in with Google

All information provided by us is free of charge and is for the public good.

ⓒ 2022. P-UM.net